- 어느날 내 알고리즘 레포지터리의 이상한 점을 눈치챘다. 그것은 커밋을 했는데도 깃허브 잔디에 반영이 되지 않는다는 것.
- 나름 꾸준히 알고리즘 문제를 풀고 있음에도 커밋 내역이 반영되지 않는 것은 억울할 것만 같아 원인과 해결방법을 찾아보았다.
원인
대부분의 원인이 깃허브에 등록된 이메일/닉네임과 로컬의 이메일/닉네임이 달라서 생기는 이슈였다. 로컬의 깃 설정을 확인하는 방법은 터미널에서 아래의 명령어를 사용하는 것이다.
git config --list
나의 경우 이메일은 괜찮았는데 닉네임이 깃허브와 달랐다. 추측컨대 맥에 등록된 이름으로 설정되어있었던 것 같다... 아마도. 따라서 로컬의 이름을 내 깃허브 닉네임으로 변경해주었다. 명령어는 아래와 같다.
git config --global user.name "[변경할 이름]"
이렇게 함으로써 앞으로 발생할 잔디 누락 문제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었지만, 이제까지 커밋한 내역들이 반영되지 않는다는 것은 역시 아쉬운 일이었기에, 이미 커밋한 내역들을 잔디로 다시 심을 수 있는지 알아본 결과 아래와 같은 게시물을 발견해 잔디 내역을 살릴 수 있었다.
※ 참고
https://wellbell.tistory.com/43
- 여지껏 알고리즘 커밋이 반영되지 않음을 몰랐다가 겨우 알아서 해결해냈다.
- 내가 참고한 게시물을 보면 rebase 실행을 내역을 반영할 커밋에 대해 하나하나 실행해야 하는데(...) 지금이 아니라 더 나중에 발견했었으면 그 많은 커밋을 어떻게 다 복구해야했을까 하는 생각에 몸부림이 쳐진다.
'이슈' 카테고리의 다른 글
Next.js SSRF 취약성 이슈 (0) | 2024.05.12 |
---|---|
The emulator process for ~ was killed 에러 (0) | 2021.07.31 |
git push 무한로딩(반응 없음) (0) | 2021.07.17 |